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개봉이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내일은 스타 캐릭터. 지금은 비록 남해 바다 바닥에서 뒹굴거리고 있지만 내일의 아이돌을 꿈꾸는 개봉이. 한창 사춘기를 겪고 있는지라 다소 반항적이면서도 가끔은 바위 사이의 구석 한켠이나 벽에 난 구멍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즐기기도 한다.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옥토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2% 부족한 능력자 캐릭터. 꼬마별을 따라 남쪽 바다에 떨어진 외계인 옥토. 문어와 비슷한 외형을 가졌기 때문에 자기를 문어라 착각한다. 엄청나 초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바다에 떨어지면서 기능을 많이 잃어버려 전혀 위협적이지도, 크게 쓸모가 있지도 않다.

뛰어난 능력과 지능을 소유한 존재. 충돌로 인해 기억력을 상실해 버린 채 자신을 돌문어라 굳게 믿고 있다.

앗~~~!!! 발은 네 개 뿐이군.. 왜일까…흠..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쫑이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가까이하기엔 너무 힘든 캐릭터. 쫑이는 온몸에서 풍기는 마늘 냄새로 인해 친구들을 힘들게 한다. 가끔 쫑이 때문에 친구들의 후각이 마비될 지경.. 마음이 착하고 남 도와주는 것을 좋아하지만 친구들은 쫑이가 가까이 오면 코부터 두 손으로 감싸쥔다. 냄새만 없다면 뽀얀 살결과 세모난 귀여운 몸매가 귀엽고 사랑스럽다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장지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독특한 성격의 캐릭터. 장지는 꼬마 유성이 떨어진 시골집에 오래전부터 살고 있던 터줏대감이다. 집에 대한 애착이 심하고, 결벽증이 있어 수시로 주변을 정리정돈하는 버릇이 있다. 가끔 위급한 상황이 닥칠 때도 정리정돈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해 큰 위험을 당할 뻔하기도 한다.

1929년 일본인에 의해 발견된 한국 토종 도마뱀. 최초의 발견지는 북한산이지만 현재는 우리나라 전역에서 발견되며 남해안에도 서식한다.

혼자여도 괜찮지만…장지 더보기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괭이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대표 캐릭터. 덩치가 작은 데다가 등지느러미가 없어 돌고래 무리에게 따돌림을 당하지만 괭이는 항상 밝고 긍정적인 성격이다. 외로움 속에서 주눅들기보다는 자신을 사랑해 줄 가족과 친구를 찾기 위해 친근한 미소로 다가오는 씩씩하고 밝은 녀석이다.

남해안에 서식하는 소형 돌고래 상괭이. 주로 한반도의 남쪽 바다와 동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발견된다. 1m 내외의 작은 몸을 가지고 있으며 등지느러미가 없다는 게 특징이다. 얼굴이 늘 웃는 모습을 하고 있어서 인간과 친근한 느낌을 준다.

혼자여도 괜찮지만…괭이 더보기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까망이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순진무구 캐릭터 까망이는 온 몸이 까매서 주변 친구들 조차도 볶은 콩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원래 검정색 콩이다 . 덩치가 작은데 대한 콤플렉스를 가지고 있ㅇ며 덤벙거리는 성격이다. 따라 하기를 좋아해서 커피콩 콩이를 늘 따라하면서 자신을 커피콩이라고 착각하고 있다. 윤기 촤르르한 로스팅을 위해 선탠이나 찜질을 즐긴다.

혼자여도 괜찮지만…까망이 더보기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 … “쭈니”캐릭터

“혼자여도 괜찮지만…”의 매력덩어리 캐릭터 “쭈니” 귀여운 외모와는 달리 급한 성격으로 좌충우돌의 대명사이다. 아무말이나 쉽게 믿어버리는 팔랑귀를 가졌으며 무슨 생각을 하는지 자주 멍때리는 모습이 발견된다. 음악을 너무 좋아해 멋진 뮤지션이 되고 싶어 하지만 실상은 엄청난 음치이다.

혼자여도 괜찮지만 … “쭈니”캐릭터 더보기
작성일 댓글 남기기

혼자여도 괜찮지만은

“혼자여도 괜찮지만..”은 경상남도 남해안의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캐릭터 IP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한 창작물을 통해 다양한 머천다이징(Merchandising)과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지역을 대표하는 지속적이고 확장 가능한 비지니스 모델을 구축하고자 기획되었다.

콘텐츠 산업은 비교적 적은 한계비용으로 매우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산업으로 인식되어 왔다. 선진국의 경우 이러한 콘텐츠 산업의 가치를 인식하고 오래 전부터 관심을 기울여 왔으며 다방면으로 콘텐츠 개발 및 확산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그 결과 미국, 일본 등에서는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글로벌 콘텐츠를 생산하고 보급함으로써 전세계 문화 콘텐츠 시장을 지배해 왔다, 대표적인 예로 미국 헐리우드의 경우 ,영화나 애니메이션 한 편을 흥행시킴으로써 우리나라의 가간산업인 자동차, 조선, 반도체 분야보다 훨씬 더 큰 수익을 발생시키며 콘텐츠 산업의 가능성과 저력을 확인시켜 주었다.

혼자여도 괜찮지만은 더보기